티스토리 뷰
목차
응급실을 찾아오는 환자 중 가장 긴장되고 무서운 질환은 대동맥 박리이다. 갑작스럽게 식은땀을 흘리면서 가슴과 등 쪽까지 뻗치는 양상의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라면 의사 입장에서도 매우 긴장되는 상황이다. 그 이유에 대해 알아보자.
대동맥박리 증상
대동맥 박리는 대동맥의 내부 층이 찢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요한 의학적 상태입니다. 대동맥은 심장에서 온몸으로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운반하는 큰 혈관입니다. 이 상태는 종종 고혈압과 관련이 있으며 예고 없이 갑자기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동맥 박리의 증상은 일반적으로 심각하고 갑작스러운 흉통을 포함하며, 종종 찢어지거나 찢어지는 것으로 묘사되며 등이나 복부로 퍼질 수 있습니다. 통증의 강도는 종종 베임을 당하거나 날카로운 물체에 맞은 것과 비교됩니다. 찢어진 위치에 따라 통증은 주로 가슴, 견갑골 사이, 상복부에서 느껴질 수 있습니다. 심장에서 나오는 대동맥의 일부인 상행 대동맥은 일반적으로 박리로 인해 영향을 받습니다. 이러한 경우 환자는 의식 상실, 실신, 뇌졸중 등 뇌로 가는 혈류 감소와 관련된 증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이는 혈압의 변화를 동반할 수 있으며, 일부 환자는 고혈압을 나타내는 반면 다른 환자는 저혈압 또는 심지어 쇼크를 나타내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습니다. 대동맥 박리의 합병증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하행대동맥이 침범된 경우 척수신경으로의 혈류가 방해를 받아 하반신 마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장으로 가는 혈류가 감소하면 복통이 발생하여 위장이나 췌장 질환으로 오인될 수 있습니다. 신장으로 가는 혈류가 감소하여 소변량이 감소하여 급성 신부전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대동맥 박리의 심각성과 잠재적 합병증을 고려할 때 신속한 의학적 평가와 개입이 중요합니다. 조기 진단과 개입은 환자의 생존율을 크게 높입니다.
대동맥박리의 원인
대동맥 박리의 정확한 원인은 다양하지만 가장 주요한 요인은 고혈압으로 전체 사례의 약 80%를 차지합니다. 이 질환은 주로 40~60대에 영향을 미치며 여성보다 남성에서 더 많이 발생합니다. 결합 조직에 영향을 미치는 말판 증후군과 같은 유전 질환도 대동맥 박리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다른 선천성 요인으로는 이첨판 대동맥 판막, 엘러스-단로스 증후군, 터너 증후군과 같은 질환이 있으며, 이는 대동맥 벽의 구조나 탄력성 결함으로 인해 찢어지기 더 쉬운 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노화, 동맥경화증은 박리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임신은 상대적으로 드문 위험 인자이기는 하지만, 특히 기존에 마르판 증후군이 있거나 대동맥 확장이 있는 여성의 경우 대동맥 박리의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40세 이하 여성에서 발생하는 대동맥박리의 절반 이상이 임신이나 산후에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됐다. 또한, 흔하지는 않지만 흉부 외상과 같은 외상성 사건도 대동맥 박리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심혈관 시술 및 수술이 증가함에 따라 이러한 시술의 합병증으로 대동맥 박리가 가끔 보고되었습니다. 대동맥 박리와 관련된 다양한 위험 요소를 이해하는 것은 잠재적으로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상태를 조기 발견, 진단 및 관리하는 데 중요합니다. 추가 합병증을 예방하고 환자 결과를 개선하려면 응급 수술을 포함한 즉각적인 의료 개입이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위험 요인이 있는 사람은 정기적인 건강 검진을 유지하고 대동맥 박리를 암시하는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치료법
대동맥 박리의 치료 방침은 발생 부위와 합병증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진단 과정에서 혈압과 맥박수를 안정시켜서 대동맥 파열을 막고 통증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며, 가능한 신속한 검사가 필요합니다. Chest CT 가 가장 대표적인 검사가 되겠습니다. 대동맥 박리의 치료에는 비수술적(내과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가 포함됩니다. 수술적 치료는 대개 급성 및 만성 상행 대동맥 박리(A형) 및 합병증이 동반된 급성 하행 대동맥 박리(B형)의 경우에 시행됩니다. 이때, 합병증은 주요 장기 혈류 장애, 대동맥 파열, 하행 대동맥에서 상행 대동맥으로 역행성 박리 등을 포함합니다. 내과적 치료는 합병증이 없는 급성 하행 대동맥 박리(B형)와 안정된 만성 대동맥 박리 등의 경우에 시행됩니다. 이때의 목표는 혈압 조절과 대동맥 벽에 가해지는 부하를 줄이는 것입니다. 중재적 시술은 혈관을 통한 시술로서 카테터를 이용하여 창을 만들어주거나 스텐트를 삽입하는 방법이 사용됩니다. 내막 파열 및 침범한 대동맥 부위에 따라 드베키(DeBakey)와 스탠포드(Stanford) 분류법을 통해 대동맥 박리가 분류됩니다. 이러한 치료 결정은 복잡하며 종종 심장내과와 흉부외과의 협조가 필요합니다. 대동맥 박리는 치명적인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조기 발견과 신속한 치료가 필수적입니다.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울증(조증+우울증) 증상 원인 치료에 대하여 (0) | 2024.02.03 |
---|---|
스테로이드 설명과 부작용, 아나볼릭 스테로이드란? (0) | 2024.02.02 |
불면증 약물 및 생활에서 치료법, 원인 (0) | 2024.01.31 |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정의, 치료, 보호자의 자세 (1) | 2024.01.30 |
탈모의 원인 증상 치료법에 대하여 (0) | 2024.01.30 |